티스토리 뷰

반응형

USB 인식을 못할때 해결방법

 

외장 메모리·프린터·키보드까지 USB로 연결하는 일이 많다 보니, 갑자기 USB 인식을 못할때 막히면 업무가 멈춥니다. 아래 순서대로 전원·케이블·포트→드라이버→파일시스템→전력 설정을 점검하면 대부분 현장에서 해결돼요. 초보자·어르신 기준으로 메뉴 경로만 따라 하면 끝나도록 정리했습니다. 아래의 내용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.

반응형

1) 연결·전원 기본점검 — USB 인식을 못할때 가장 먼저

  • 케이블/허브 교체: 케이블 불량·길이 과다(2m↑)·저전력 허브가 흔한 원인입니다. 직결로 바꿔 보세요.
  • 포트 교차 테스트: PC 앞면 대신 뒷면 메인보드 포트로 연결. 노트북은 양쪽 포트 번갈아 확인.
  • 전원 확保: 2.5인치 외장하드는 전력이 부족하면 끊깁니다. Y케이블/전원 어댑터 사용.
  • 정전기 리셋: PC 완전 종료 → 전원선 뽑고 10초 누름 방전 → 재연결.

2) Windows에서 장치 초기화

  • 장치 관리자 열기: 시작 버튼 우클릭 → 장치 관리자  범용 직렬 버스 컨트롤러
  • 노란 느낌표/알 수 없는 장치가 보이면 우클릭 → 장치 제거(드라이버 삭제 체크) → 재부팅 후 자동 재설치.
  • 칩셋/USB 컨트롤러 드라이버가 오래되면 인식이 흔들립니다. Windows 업데이트로 최신화하세요.

전력 관리 해제

  • 장치 관리자 → USB 루트 허브(전원 관리 탭) → “전원을 절약하기 위해…” 체크 해제.
  • 전원 옵션 → 고급 설정 → USB 선택적 절전 모드 사용 안 함으로.

디스크 관리에서 드라이브 문자 할당

  • 시작 우클릭 → 디스크 관리. 목록에 장치가 보이는데 문자만 없는 경우
    • 파티션 우클릭 → 드라이브 문자 및 경로 변경 → 추가로 문자 할당.
  • 초기화 필요”가 뜨면 GPT/MBR 중 선택하여 초기화(데이터 없는 새 디스크일 때만).

3) 파일시스템 문제 해결(읽히지만 폴더가 안 보일 때)

  • 오류 검사: 탐색기에서 드라이브 우클릭 → 속성 → 도구 → 오류 검사.
  • 파일시스템 호환: exFAT/NTFS/EXT 등 포맷 형식이 기기와 맞지 않으면 보이지 않습니다.
    • TV/차량/프린터는 FAT32/exFAT 선호, 대용량·윈도우 전용은 NTFS 권장.
  • 데이터가 중요하면 복구 시도 후 포맷: 포맷 전에는 다른 작업을 최소화하세요.

4) macOS에서 점검

  • 디스크 유틸리티 실행 → 왼쪽 장치 표시에서 보기: 모든 기기 보기 켜기.
  • 장치가 보이면 마운트 버튼, 오류 시 응급 처치(First Aid).
  • 인식이 전혀 없으면 다른 포트/케이블/허브 제거로 재시도. 인텔 맥의 일부 허브는 버스 전원 부족이 자주 발생합니다.

5) 모바일/OTG 연결(안드로이드)

  • OTG 지원 기기인지 확인 후 파일 관리자 앱에서 ‘USB 저장장치’ 노출 확인.
  • 인식 불가 시 저전력 문제 가능성: 자가 전원 허브 또는 짧은 케이블 사용.
  • 파일시스템이 맞지 않으면 표시되지 않습니다. exFAT로 포맷된 장치는 호환이 좋습니다.

6) BIOS/펌웨어 레벨

  • 구형 PC는 Legacy USB/USB 3.0 모드 설정이 비활성일 수 있어요. BIOS에서 Enabled/Auto로.
  • 메인보드 칩셋 드라이버/펌웨어 업데이트로 불규칙 인식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.

표|증상별 빠른 해결 요약

장치가 “띵” 소리도 없음 케이블/포트 불량, 전력 부족 직결/다른 포트/짧은 케이블/전원 어댑터
장치 관리자에 알 수 없는 장치 드라이버 꼬임 장치 제거→재부팅→업데이트
디스크는 보이나 드라이브 문자가 없음 문자 미할당 디스크 관리→문자 추가
폴더 안 보임, 포맷 요구 파일시스템 오류 오류 검사→데이터 백업→호환 포맷
간헐적 연결/끊김 절전 모드/허브 문제 USB 절전 해제→직결/자가전원 허브
맥에서만 인식 불가 마운트 실패/전력 응급 처치→다른 포트→전원 허브
모바일 OTG 미표시 비호환/전력 부족 OTG 지원 확인→짧은 케이블/전원 허브

자주 있는 실수와 예방

  • 전면 포트만 사용: 신뢰성은 후면 메인보드 포트가 더 높습니다.
  • 허브에 허브 추가: 다단 허브는 전압 강하로 오류 유발. 단일 허브 원칙.
  • 무리한 분해·컨넥터 뒤틀기: 핀 손상으로 영구 불량이 납니다. 케이블을 우선 교체하세요.
  • 급한 마음에 바로 포맷: 데이터가 필요하면 먼저 백업/복구 시도 후 포맷 결정.

체크리스트(실행 순서 그대로)

  1. 직결·다른 포트·다른 케이블로 교차 테스트
  2. 장치 관리자에서 문제 장치 제거→재부팅
  3. 디스크 관리/디스크 유틸리티로 마운트·문자 할당·오류 검사
  4. USB 절전 해제  Windows 업데이트
  5. 여전히 불가하면 다른 PC/맥/모바일에서 교차 검증 → 장치 자체 불량 판단

마무리

결론적으로 USB 인식을 못할때연결·전력→드라이버→파일시스템→절전 설정 순서만 지키면 대부분 현장에서 해결됩니다. 오늘 체크리스트대로 차근히 점검해 보시고, 데이터가 소중한 장치라면 즉시 포맷보다 백업·복구 우선을 기억하세요. 다음에 같은 문제가 생겨도 이 글 순서를 그대로 적용하면 USB 인식을 못할때 빠르게 정상화할 수 있습니다.

반응형